셀토스 차량의 엔진 오일, 브레이크 액, 타이어, 냉각수 등 주행 거리와 기간에 따라 점검하고 교체해야 할 주요 부품과 그에 따른 평균 비용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차량의 성능을 유지하고 안전한 운전을 위해 필수적인 정비 내용이니 꼭 참고하셔서 차량 관리를 해봅시다.

 

셀토스 차량의 주행 거리에 따른 정기 점검 및 교체 항목 비용과 주기 안내

 

셀토스를 소유하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차량의 성능을 유지하고 안전하게 운전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점검과 부품 교체가 필수입니다. 오늘 셀토스의 주행 거리나 시간에 따라 어떤 것들을 점검하고 교체해야 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셀토스의 주요 부품 교체 주기와 예상 비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셀토스 거리별 정기점검 및 교체 가이드

 

1. 엔진 오일 및 필터

  • 역할: 엔진 오일은 엔진 내부 부품의 마찰을 줄이고, 열을 방출해 엔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일 필터는 엔진 오일에 섞인 불순물을 걸러내어 오일이 깨끗하게 순환되도록 돕습니다.
  • 교체 주기: 10,000km 또는 12개월마다 (1.6 터보 가솔린 기준)
  • 비용: 7만~12만 원
  • 점검 방법:
    • 보닛을 열고 엔진 오일 게이지(딥스틱)를 뽑아 오일 양과 상태를 확인합니다. 오일이 최소(MIN)와 최대(MAX) 사이에 있어야 하며, 색이 너무 검거나 탁하면 교체해야 합니다.
    • 오일은 폐기물이기 때문에 가정에서 교체하는 것을 어려운 일입니다. 공업사의 도움을 받으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정기 점검이 필요한 이유

 

2. 에어 필터 (공조장치용)

  • 역할: 에어 필터는 엔진으로 들어가는 공기 중의 먼지와 이물질을 걸러내어, 엔진이 깨끗한 공기를 사용하도록 돕습니다. 깨끗한 공기는 연료 효율을 높이고, 엔진 성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교체 주기: 15,000km마다
  • 비용: 2만~3만 원
  • 점검 방법: 에어 필터를 꺼내어 먼지나 이물질이 많이 쌓여 있으면 교체해야 합니다. 필터가 깨끗하지 않으면 공기 흐름을 방해해 엔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보통 엔진오일 교체와 함께 교체가 진행됩니다.

 

에어필터와 다르게 에어컨필터는 보통 개인이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아래글을 참고하세요.

 

셀토스 에어컨필터 혼자서 교체하기

에어컨필터는 얼마든지 혼자서 교체할 수 있습니다. 셀프 교체 시 공임비를 아낄 수 있으니 꼭 방법을 익혀두시면 좋습니다. 특히나 에어컨필터를 교체할 때는 어떤 공구 없이 맨손으로 가능합

bazar.tistory.com

 

3. 브레이크 액

  • 역할: 브레이크 액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발생하는 압력을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전달해 제동력을 만들어줍니다. 브레이크 액이 부족하거나 오래되면 제동력이 떨어져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 교체 주기: 50,000km마다
  • 비용: 5만~7만 원
  • 점검 방법:
    • 브레이크 액 탱크의 액체가 최소(MIN)와 최대(MAX) 사이에 있는지 확인하고, 색이 노란색에서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변하면 교체해야 합니다.
    • 엔진오일처럼 대부분 운전자에게 잘 인식되지 않은 것 중에 하나인데 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주 살펴보실 것을 권장합니다.

 

4. 타이어 교체

  • 역할: 타이어는 도로와의 유일한 접촉점으로, 차량의 안정성, 제동력, 그리고 연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마모된 타이어는 제동거리를 늘어나고 미끄러워져서 사고 가능성이 올라갑니다. 특히나 겨울철에는 더욱 미끄러짐의 원인이 됨으로 상태를 자주 확인해야 합니다.
  • 교체 주기: 30,000~50,000km마다 (타이어 마모 상태에 따라 다름)
  • 비용: 타이어 1개당 10만~20만 원
  • 점검 방법:
    • 타이어의 트레드(홈) 깊이를 통해서 확인을 합니다. 보통 트레드 깊이가 1.6mm 이하라면 교체가 필요합니다. 백 원 동전을 넣어봐서 갓 부분을 넘기면 바꿔야 하는 시점입니다. 또한 타이어의 공기압도 매뉴얼에 명시된 수치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자동차를 팔기 위해서 얼마나 테스트를 했을까요? 일반적인 의견보다 제조사의 권장사항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셀토스의 적정 공기압에 맞춰 혼자서 공기 주입하기

셀토스는 계기판을 통해 공기압을 확인하는 방법과 타이어 응급 처치 키트를 통해서 혼자서 공기를 주입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안내하도록 하겠습니다. 타이어 수명과 연비에 영향을 주는

bazar.tistory.com

 

자동차 주요 점검 항목

 

5. 와이퍼 블레이드

  • 역할: 와이퍼 블레이드는 앞유리창의 물기를 닦아내 시야를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모되면 물이 제대로 닦이지 않아 빗길 운전에 위험할 수 있습니다.
  • 교체 주기: 매년 점검 및 필요시 교체
  • 비용: 1만~3만 원
  • 점검 방법:
    • 와이퍼가 유리를 제대로 닦지 못하거나 물 자국이 남으면 교체해야 합니다. 보통 고무는 시간이 지나면 갈라지거나 손상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체한다는 생각으로 바꾸시면 됩니다. 쇼핑에서 가장 저렴하게 팔면 미리 사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셀토스 와이퍼 사이즈를 알아보고 혼자서 교체하는 방법

셀토스 차주를 위해 운전석, 보조석 그리고 뒷유리 와이퍼 사이즈 정보 제공 및 와이퍼 교체 방법과 작동 방법까지 설명합니다. 이 글을 안내를 따라 와이퍼 교체를 도전해 보세요. 또한 환경을

bazar.tistory.com

 

 

6. 냉각수 (부동액)

  • 역할: 냉각수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는 역할을 합니다. 냉각수가 부족하거나 오염되면 엔진 과열로 인해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름철에 미리 대비하셔야 하며, 겨울철에도 농도가 맞지 않으면 얼수 있어 대비를 하셔야 합니다.
  • 교체 주기: 200,000km 또는 10년 후, 이후 40,000km마다
  • 비용: 5만~10만 원
  • 점검 방법:
    • 냉각수 탱크의 액체가 최소(MIN)와 최대(MAX) 사이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냉각수가 오염되었거나 색이 변했다면 교체해야 합니다.
    • 여름과 겨울을 앞두고 꼭 점검해야 할 항목입니다.

 

 

7. 점화 플러그

  • 역할: 점화 플러그는 엔진 내에서 연료와 공기를 점화해 폭발을 일으켜 엔진을 작동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점화 플러그가 마모되면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연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 교체 주기: 70,000km마다
  • 비용: 8만~15만 원
  • 점검 방법:
    • 점화 플러그를 확인해 플러그 끝이 닳아 있거나 검게 그을려 있다면 교체해야 합니다. 하지만 일반인이라면 플러그를 뽑아서 확인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보통 운전 중에 출력이 제대로 나오지 않거나 불규칙한 폭발이 일어난다면 점화 플러그를 점검해 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요 점검항목

 

8. 구동 벨트

  • 역할: 구동 벨트는 엔진과 발전기, 에어컨 컴프레서 등의 여러 부품을 연결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벨트가 손상되거나 느슨하면 차량의 여러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점검 주기: 90,000km 또는 72개월에 첫 점검, 이후 30,000km마다 점검
  • 비용: 10만~15만 원
  • 점검 방법:
    • 벨트에 갈라짐이나 손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손으로 눌러보고 적절하게 장력이 있는지 점검합니다. 느슨하거나 갈라진 벨트는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교체해야 합니다.
    • 겨울철에 벨트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얼어 있던 벨트가 돌아가면서 초반에 소리가 나다가 어느 정도 워밍업이 되면 사라지는데 혹시 모르니 점검을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정기 점검의 중요성 및 결론

정기적인 점검과 부품 교체는 차량 성능 유지뿐만 아니라 안전한 주행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셀토스는 주행 환경이나 운전 습관에 따라 부품들의 교체 주기가 달라질 수 있지만, 그래도 정해진 주기에 맞춰서 점검을 한다면 놓쳐서 큰일이 일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모든 자동차가 동일하지만 셀토스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교체해야 안전하게 오래 차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점검 주기와 비용을 미리 알고 계획적으로 관리하면, 예상치 못한 고장이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정기 점검의 중요성

+ Recent posts